
현재 부동산 시장은 주택 가격 상승폭이 물가상승폭을 넘어선 상태로 고점에 형성된 가격이 수요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요. 하지만 매도인 입장에서도 호가를 하향 조정할 유인책이 많지 않아서 현재 형성되어 있는 가격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매도자와 매수인간 대치상태가 계속해서 진행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전세시장은 올해와 비슷한 수준인 6.5%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지난해 8월 계약갱신청구권에 따른 전세가 격상한 여파로 시장 가격 대비 저렴하게 계약됐던 매물이 내년 8월 계약갱신청구권 만료와 함께 시세대로 거래되면서 올해와 같은 오름세가 지속할 것이란 예측하고 있습니다. 금융위의 은행권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 ..

건강보험료 직장 및 지역가입자 인상 우리나라가 점점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료비 증가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및 의료수가 늘어나면서 2022년 1월부터 건강보험료가 인상됩니다. 건강보험료: 1.89% 인상 장기요양보험료:6.51%(0.75%) 인상 건강보험료 20만 원 기준으로 매월 인상되는 금액을 대략 계산해 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직장가입자 1.89%의 절반인 0.945% 인상 건강보험료 월 1,890 장기요양보험료 월 123원 합산 금액 = 월 2,013원 지역가입자 1.89% 안상 건강보험료 월 3,780 장기요양보험료 월 246원 합산 금액 = 월 4,026원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율: 6.86%(2021년) -> 6.99%(2022년) 보수월액 보험료(월): 보수월액 X 보험료율(6.99..

예금이나 적금은 만기를 채워야 우대금리나 세제혜택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급하게 급전이 필요할 경우 이자 손해를 감수하고 예금이나 적금을 해지하게 된다면 만기 시에 받을 혜택을 받지 못하는데요. 시중 여러은행에서는 당장 급한 자금이 필요할 경우 예적금을 든 고객에 대해서 예적금을 담보로 해서 저렴한 금리로 대출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우리은행 예금담보대출 상품의 한도, 금리, 중도상환, 유의사항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은행 예·적금담보대출 대출대상 자격 ▶ 대출대상 - 내국인 거주자로서, 우리은행에 본인명의 예금, 적금, 신탁을 가입한 개인 및 개인사업자가 해당됩니다. * 제외고객 : 미성년자, 신용관리대상정보 등록, 특수채권, 연체여신 보유 중인 경우 * 아래의 경우 대..

신용회복위원회의 신속 채무조정은 일시적으로 빚을 갚기 힘든 분들을 위해서, 일정 기간 상환을 유예하거나 상환 기간을 연장해주는 등의 채무 조정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만약 연체 위험에 놓였을 때 조건만 된다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2개 이상 금융 회사에 빚이 있으면서 총채무액이 15억 원 이하여야 하며, 최근 6개월 안에 새로 받은 채무액이 전체 채무액의 30%를 넘지 않아야 하는데요. 또한 연체 기간이 30일 이하로 단기 연체자이어야 하는데, 최근 6개월 이내 직장을 잃었거나 폐업한 사람 등은 연체 상태가 아니더라도 연체가 예상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채무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신용회복위원회의 도움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신용회복위원회 연체 전 채무조정에 관하여 자..

작년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을 확인해 보면 2021년 6월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30조4000억원으로 통계를 작성한 2004년 후 최대치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회생활을 하게 되면 누구나 내 집 마련의 꿈을 꾸게 되는데, 이는 사회초년생들이나 갓 결혼한 신혼부부, 직장인들 대부분 경제생활 목표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한푼두푼 월급을 아껴서 집을 마련하기에는 지속적으로 오르는 집값을 따라갈 수 없어 대부분 장기대출상품을 통해 주택구입을 하게 되는데, 정부에서는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무주택 세대주에게 비교적 저렴한 금리로 목돈을 빌려주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우리은행 내집마련 디딤돌 대출자격, 한도, 금리 상환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아파트 매매금액이 고공행진을 계속하게 되면서 새로운 정부 출범 당시 아파트 분양가보다 평균 10억 2000만 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파트 청약이 10억짜리 로또가 된 셈으로 볼 수 있습니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시작부터 12월까지 분양 아파트 10곳을 조사한 결과 이들 아파트의 올해 9월 실거래가는 분양가 대비 평균 10억 2000만 원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같은 분양가 대비 집값 상승률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보고 있는데요. 아파트값이 계속해서 치솟는 가운데 정부의 분양가 통제로 신규 분양 단지 가격이 주변 시세 대비 크게 낮아지면서 로또 청약이라는 기대감은 계속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청약시장 문턱도 날로 높아지고 있는데요. 청약 인기가 크게 ..

오늘 포스팅에서는 2022년 임인년에 달라지는 제도는 뭐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잘 확인하고 체크하셔서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2022년 달라지는 제도 복지 정책들 1. 신호등 파란불 우회전 불가 2022년 달라지는 제도 중 운전하시는 분들은 가장 조심해야 하는 사항입니다. 신호등 파란불 우회전 불가로 변경됩니다. 저는 되도록이면 운전할 때 사람이 없더라도 파란불에서는 우회전을 가지 않는데 이렇게 기다리고 있으면 뒤에서 빵빵대는 차들이 너무 많네요 이제는 법적으로 제재한다고 합니다. 과태료 승합차 7만, 승용차 6만원에 벌점은 10점이 부여된다고 하니 이제는 뒤에서 빵빵거려도 우회전하지 마세요. 2. 법정 공휴일 유급 의무화 공공기관, 관공서에서만 적용되던 법정 공휴일이 2021..

지금과 같이 계속 집값이 상승하면 내 집 마련이 점점 더 힘들어질 것이라고 느끼는데요.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은 대표적인 장기·분할상환·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로 무주택 서민·실수요자·취약계층의 주택 마련을 필수적인 상품 중 하나인데요. 특히나 요즘과 같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는 변동금리 상품보다는 금리 변동 위험 없이 고정금리로 안정적으로 대출금을 상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대출상환기간의 경우에도 보금자리론은 10~40년 약정기간을 적용할 수 있어서 원금과 이자의 상환 부담을 상대적으로 덜 수 있는 이점이 있는데요. 주택금융공사에서는 지난 2021년 7월에는 대출만기를 40년까지로 기존 30년에서 10년을 더 늘려 장래 예상 소득은 충분하나 현재 가처분소득이 부족한 청년층과 신혼가..